Ollama와 Llama.cpp, 뭐가 다를까?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(2025년 최신)

로컬 LLM 실행 도구인 Llama.cpp와 Ollama의 개념과 차이점을 초보자 눈높이에서 쉽게 설명합니다. 둘의 관계, 장단점, 나에게 맞는 선택 기준까지 한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.
Seunghwan Kim's avatar
Oct 15, 2025
Ollama와 Llama.cpp, 뭐가 다를까?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(2025년 최신)

ChatGPT처럼 똑똑한 AI를 내 컴퓨터에서 직접 돌려보고 싶다는 생각, 한 번쯤 해보셨나요? 검색창에 "로컬 LLM 실행"을 입력하면, 'Ollama'와 'Llama.cpp'라는 단어가 끊임없이 등장합니다. 그런데 정작 이 둘이 정확히 뭔지, 어떻게 다른지, 나는 뭘 써야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는 글은 찾기 어렵죠.

이 글은 바로 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 최대한 쉬운 비유로 두 도구의 개념과 관계를 풀어드릴게요. 이 글을 다 읽으시면, Llama.cpp와 Ollama가 무엇인지,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, 그리고 여러분의 상황에 어떤 도구가 적합한지 명확히 판단하실 수 있을 거예요.

Llama.cpp란? - '엔진' 그 자체

Llama.cpp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자동차 엔진에 비유하는 거예요. 자동차를 움직이게 하는 핵심 동력 장치가 엔진이듯, Llama.cpp는 LLM을 실제로 작동시키는 핵심 추론 엔진입니다.

기술적으로는 어떤 존재일까요?

Llama.cpp는 C/C++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예요. Meta에서 공개한 LLaMA 모델을 비롯해 다양한 오픈소스 LLM을 컴퓨터에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입니다.

원래 AI 모델은 대부분 Python이라는 언어로 작동하는데, 이걸 스마트폰이나 개인 PC 같은 일반 기기에서 돌리려면 성능이 많이 떨어져요. Llama.cpp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++라는 더 빠른 언어로 다시 작성된 것입니다. 덕분에 고성능 GPU가 없는 일반 노트북에서도 LLM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죠.

장점과 단점은?

장점:

  • 압도적인 속도: C++ 기반이라 추론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. 실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Ollama 대비 13%~80% 빠른 성능을 보여요. Llama.cpp가 초당 161 토큰을 생성한 반면, Ollama는 89 토큰으로 약 1.8배 차이가 나기도 해요.

  • 세밀한 제어: 모델 파라미터, 메모리 사용량, GPU 활용 방식 등을 개발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다양한 하드웨어 지원: CPU, NVIDIA GPU, Apple Silicon(M1/M2/M3), 심지어 라즈베리파이 같은 저사양 기기에서도 작동해요.

단점:

  • 설치가 복잡합니다: 코드를 직접 컴파일해야 하고, 운영체제별로 설정 방법이 다릅니다.

  • 사용법이 어렵습니다: 명령어 옵션이 수십 가지라서, 초보자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요.

  • 모델 관리가 번거롭습니다: 모델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하고, 경로를 지정하고, 버전을 관리해야 합니다.

Llama.cpp를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은?

Llama.cpp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해요:

1단계: 설치 및 빌드

# GitHub에서 코드 다운로드
git clone <https://github.com/ggerganov/llama.cpp>
cd llama.cpp

# 컴파일 (Mac/Linux)
make

# 또는 CMake 사용
cmake -B build
cmake --build build --config Release

2단계: 모델 다운로드

  • Hugging Face에서 GGUF 형식의 모델 파일을 다운로드 (예: llama-2-7b.Q4_K_M.gguf)

3단계: 실행

# 간단한 텍스트 생성
./llama-cli -m ./models/llama-2-7b.Q4_K_M.gguf -p "하늘은 왜 파란가요?" -n 128

# API 서버 실행
./llama-server -m ./models/llama-2-7b.Q4_K_M.gguf --port 8080

보시다시피, 명령어가 길고 옵션이 많아요. -m은 모델 경로, -p는 프롬프트, -n은 생성할 토큰 수를 의미하는데, 이런 걸 다 외워야 하죠.

누가 사용하나요?

Llama.cpp는 최고의 성능을 원하는 고급 개발자나 연구자에게 적합합니다. 명령어 인터페이스(CLI)에 익숙하고, 컴파일이나 시스템 설정을 직접 할 수 있는 분들이 주로 사용하죠. "속도가 가장 중요해", "모든 설정을 내 손으로 제어하고 싶어"라는 니즈가 있다면 Llama.cpp가 최선의 선택입니다.


[이미지 삽입]

  • 주제: 자동차 엔진 내부 구조와 코드 화면이 오버랩된 이미지

  • 대체텍스트: Llama.cpp 엔진 비유 개념도

  • 이미지 캡션: 강력한 엔진 Llama.cpp

  • Prompt(ENG): Split screen composition, left side showing detailed car engine mechanics, right side displaying C++ code and terminal commands, connected by glowing lines, dark tech aesthetic, 16:9 aspect ratio, leave top 20% empty for text overlay

Ollama란? - '완성차'로 만들어진 도구

이번엔 Ollama를 자동차에 비유해볼까요? Llama.cpp가 '엔진'이라면, Ollama는 그 엔진 위에 조향장치, 시트, 내비게이션을 갖춘 '완성차'입니다.

Llama.cpp와 Ollama 비교
Llama.cpp와 Ollama 비교

기술적으로는 어떤 존재일까요?

Ollama는 Llama.cpp를 내부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도구예요. 전문 용어로는 'wrapper(래퍼)'라고 부릅니다. 복잡한 Llama.cpp의 기능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감싸서 제공하는 거죠.

Docker를 사용해보신 분이라면 더 쉽게 이해하실 거예요. Dockerfile로 컨테이너를 만들듯, Ollama는 'Modelfile'이라는 간단한 설정 파일 하나로 모델을 관리합니다. 복잡한 명령어를 외울 필요 없이, ollama run llama3 같은 단 한 줄의 명령어로 모델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어요.

장점과 단점은?

장점:

  • 설치가 정말 쉽습니다: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면 끝이에요. 컴파일? 필요 없습니다.

  • 사용법이 직관적입니다ollama list로 모델 목록 확인, ollama run으로 실행, ollama rm으로 삭제. 명령어가 매우 단순해요.

  • 모델을 자동으로 관리합니다: 원하는 모델 이름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, 필요 없으면 쉽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API 서버를 기본 제공합니다: 별도 설정 없이 REST API 형태로 LLM을 다른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어요.

단점:

  • 속도가 약간 느립니다: Llama.cpp에 비해 13~80% 정도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요. 래퍼 계층 때문에 생기는 약간의 오버헤드 때문이죠.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체감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.

  • 세밀한 제어는 제한적입니다: Llama.cpp의 모든 옵션을 지원하지는 않아요. 대부분의 사용자에겐 충분하지만, 극한의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엔 아쉬울 수 있습니다.

누가 사용하나요?

Ollama는 로컬 LLM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나,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싶은 개발자에게 딱입니다. "일단 써보고 싶은데 설치부터 막막해", "모델 테스트를 빠르게 해보고 싶어", "API 형태로 내 앱에 연결하고 싶어"라는 니즈가 있다면 Ollama가 정답입니다.


핵심 관계: Ollama는 Llama.cpp '기반'으로 만들어졌다

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짚고 넘어갈게요. 많은 분들이 "Llama.cpp vs Ollama, 뭐가 더 나아?"라고 물어보시기도 하는데, 사실 이 둘은 경쟁 관계가 아닙니다.

Ollama는 내부적으로 Llama.cpp 엔진을 사용합니다. 즉, Ollama로 모델을 실행하면 실제로는 Llama.cpp가 작동하는 거예요. 다만 Ollama가 그 복잡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것뿐입니다.

쉽게 비유하자면:

  • Llama.cpp = 자동차 엔진 (강력하지만 다루기 어려움)

  • Ollama = 완성된 자동차 (엔진 위에 편리한 기능들이 추가됨)

그래서 "어떤 게 더 좋냐?"가 아니라, "내 목적에 맞는 건 어떤 거냐?"를 고민하는 게 올바른 접근이에요.

뭐가 다를까? 5가지 핵심 차이점 한눈에 비교하기

이제 두 도구의 실질적인 차이를 명확히 비교해볼게요. 아래 표를 보시면 한눈에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.

비교 항목

Llama.cpp

Ollama

설치 난이도

어려움 (컴파일 필요, 환경 설정 복잡)

매우 쉬움 (설치 파일 실행만 하면 끝)

사용 방법

복잡 (수십 가지 명령어 옵션)

단순 (직관적인 명령어 3~4개)

실행 속도

매우 빠름 (벤치마크: 161 tokens/s)

빠름 (벤치마크: 89~122 tokens/s)

속도 차이

기준 (100%)

Llama.cpp 대비 13~80% 느림

커스터마이징

자유로움 (모든 파라미터 조정 가능)

제한적 (주요 설정만 가능)

진입 장벽

높음 (고급 개발자용)

낮음 (초보자 친화적)

모델 관리

수동 (직접 다운로드 및 경로 지정)

자동 (명령어 한 줄로 다운로드/관리)

API 서버

수동 설정 필요

기본 제공 (자동 실행)

나는 뭘 선택해야 할까? - 상황별 가이드

이제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도구를 선택할 차례예요. 아래 체크리스트를 참고해보세요.

Ollama를 선택하세요, 만약...

✅ 로컬 LLM을 처음 시작하는 분

✅ 설치와 설정에 시간을 들이기보다 빠르게 테스트하고 싶은 분

✅ 여러 모델을 쉽게 교체하며 실험하고 싶은 분

✅ Python, JavaScript 등으로 API 연동을 해야 하는 개발자

✅ 약간의 속도 차이보다 편리함을 우선시하는 분

✅ 대화형 챗봇이나 문서 요약 등 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분

Llama.cpp를 선택하세요, 만약...

✅ 명령어 인터페이스(CLI)와 컴파일에 익숙한 고급 개발자

✅ 실시간 응답이 필요한 서비스 등 최고 성능이 필수인 분

✅ 모든 파라미터를 세밀하게 제어하고 싶은 분

✅ AI 모델 내부 동작을 깊이 연구하는 분

✅ 라즈베리파이 같은 저사양 기기에서 극한의 최적화가 필요한 분

✅ 대규모 배치 처리나 고성능 API 서버 구축이 필요한 분

추천하는 학습 경로

사실 가장 현명한 방법은 이렇습니다:

1단계: Ollama로 시작하세요. 설치부터 모델 실행까지 30분이면 충분합니다. 로컬 LLM이 어떤 건지 감을 잡을 수 있어요.

2단계: Ollama로 여러 모델을 테스트하고, 실제 업무나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세요.

3단계: 만약 속도에 불만이 생기거나, 더 깊은 제어가 필요하다고 느끼면 그때 Llama.cpp로 전환하세요.

이 경로를 따르면 시간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.

마치며: 목적에 맞는 현명한 선택을

지금까지 Llama.cpp와 Ollama의 개념, 관계, 차이점을 살펴봤습니다. 핵심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:

  • Llama.cpp는 강력한 엔진입니다. 빠르고 유연하지만, 다루기 어렵습니다.

  • Ollama는 그 엔진을 기반으로 만든 완성차입니다. 조금 느리지만, 누구나 쉽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이 둘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계층 관계입니다.

여러분의 목적에 따라 도구를 선택하세요. 초보자라면 Ollama로 시작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경로입니다. Ollama로 즐겁게 AI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, 언젠가 이런 생각이 들지도 모릅니다. "이 차, 조금 더 빠르게 만들 수는 없을까?", "엔진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?" 그때가 바로 Llama.cpp라는 엔진을 들여다볼 때입니다.

여러분의 필요에 맞는 현명한 도구 선택으로, 즐거운 로컬 LLM 여정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.

Share article

피카부랩스 블로그